본문 바로가기
728x90
SMALL

배당7

1월 소득인증 2023년이 온지도 벌써 1달이다. 연말이다, 연초다 설날이다하며 부모님이 계신 친정에 왔다갓다하다보니 월 마감을 하고 있다니 ... 이러든 저러든 시간이 흘러가는 것은 잡을 수가없다. 작년 하반기 월급만큼 부수입 창출 !! 월 1000만원 수익이라며 기뻐했는데 , 방심하니 다시 제자리 인듯한 이번달 정산이었다. 전체의 80%가 근로소득인거보니 .. 아직 때가 아니구나라는 직관적인 표이다. 2023년 재무목표 1.재산소득 (배당소득 연 2000만원, 임대사업소득 연2000만원) 2.근로소득 (연 5000만원) 3.기타소득 (연 1000만원) 자산의 재분배와 기본으로 돌아가는 것이 필요하겠다. [재무제표를 작성하는 이유] 1. 노후준비를 목표로, 돈이 얼마나 필요한지 구체적으로 계산하여 목표설정 2. 현재.. 2023. 1. 31.
11월 소득 인증 11월 소득의 비중 근로소득 64% 임대소득 7% 재산소득(이자,배당) 14% 기타소득 15% 부수입이 본수입을 따라가고 있다. 배당이 많이 나오는 내년 2,4월은 충분히 월급만큼 벌수 있을것 같다. 주가 , 환율이 빠져가는 시점, 불안해하지 말고 균등하게 월별 배당주 매수 진행하고 현금 흐름을 안정적으로 만들어야겠다. 파이어족을 꿈꾸며, 부수익 월 평균 200만원, 그 중 주식 배당은 연 배당 700만원을 만들어 놓은 상태이다. 종합소득세 연 2000만원 넘어가지 않는 경계선이 필요하여 각종 비과세 , 세금 우대 , 세금 혜택 상품은 모두 가입한 상태이다. 주가가 빠져 수익률 -23%이지만, 이제는 장기전을 바라보고 주식적금을 마음 편히 할 수 있을 것 같다. 내 노후의 연금으로 생각하는 돈이기에 빠지.. 2022. 12. 1.
소득의 종류. 파이프라인 설계하기 소득이란 경제활동을 해서 얻는 대가를 말합니다. 소득의 종류는 여러가지로 구분되는데, 대표적인 기준은 소득이 들어오는 시기, 방법, 가치 크게 3가지입니다. 소득이 들어오는 때가 규칙적인지 아닌지에 따라서 경상 소득, 비경상 소득으로 구분 소득이 들어오는 방법에 따라 근로소득,사업소득,재산소득,이전소득 으로 구분 소득을 화페 가치에 따라 구분하면 명목 소득, 실질소득으로 구분 돈과 세금을 제대로 알기위해서는 팩트 체크 필요 내가 관심을 가지는 재테크가 가지는 개념을 제대로 알아야 그에 맞는 준비와 대책을 세울 수 있다. 세금을 관할하는 관할 국세청 홈페이지를 들여다보면 소득에 관한 정의와 범위를 알 수 있다 . 국세청 (nts.go.kr) 국세청 국세청 www.nts.go.kr 근로소득의 범위 일반적으로.. 2022. 9. 30.
728x90
LIST